이동평균선들로 투자하는 방법 3가지 이동평균선들로 매매 하는 방법
오늘은 비트코인과 fx 그리고 주식에도 적용이 가능한 이동평균선들의 투자 방법에 대해서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 투자 방법들은 3가지 이동평균선들로 매매를 하며 실제로 고지로 유명 강사가 적용 한 매매 방법입니다. 그러면 본론으로 들어가 매매 방법에 대해서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책에 대해서 궁금 하시는 분들은 아래 버튼을 통해 확인 하시길 바랍니다. 저에게는 많이 도움 됬습니다.
이동평균선들이 무엇인가?
먼저 이동평균선이란 추세를 가파르게 설명 하는 추세의 평균 선 도구들을 의미합니다. 다른 의미로 투자자들의 특정 기간 동안의 이익율을 뜻하며 이동평균선들로 투자자들의 수익 내는 구간과 손실 내는 구간들을 설명 할 수 있습니다.
이평선들을 이용 할 때 두가지 알아야 할 점들이 있는데 바로 골든 크로스와 데드 크로스입니다.
골든 크로스란 추세가 상승 하면서 두가지 이상의 단기 장기 이동평균선들이 서로 크로스하며 위로 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골든크로스는 투자자들의 이익율이 극대화 할 것을 알려주며, 반대로 데드크로스란 주가의 추세가 하방으로 가면서 상승에서 하락으로 전환 할 때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뚫고 밑으로 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데드크로스는 투자자들의 손실율이 극대화 될 것을 알려주는 기술적 분석의 이론입니다.
3개의 이동평균선들을 가지고 수익 내는 방법
투자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참고로 이 투자 방법은 고지로 강사의 이동평균선 투자 방법의 책을 참고한 내용입니다.
먼저 이동평균선들을 5일선 20일선 40일선으로 설정 합니다. 혹은 5일선 10일선 20일선으로 설정합니다. 이 이동평균선들은 단기 중기 장기선들을 의미합니다. 3가지 이동평균선들을 사용 하는 이유는 확실한 자리에서 매수하기 위함 때문입니다.
이 이동평균선들을 보면서 5일선 20일선 40일선 (혹은 5일선 10일선 20일선) 이 나란히 정배열 되는 지를 확인 합니다. 이때 간격이 일정하며 상승하는 지 혹은 간격이 벌여지면서 거래량이 실리면서 상승 하는 지를 봐야 하고 단기 이동평균선 위로 주가가 올라가는 지를 봐야 합니다.
어느정도 주가가 정배열 상태일 때 매수하면서 수익이 나면 일정하게 분할로 매도를 하며 이익을 챙기고 단기 이동평균선과 중기 이동평균선 그리고 장기 이동평균선들이 서로 크로스 상태가 되거나 엇갈리며 불확실한 횡보 상태면 포지션 진입을 멈춥니다.
매도도 마찬가지입니다.
매도는 반대로 장기 이동평균선 아래로 나란히 장기 중기 단기 이동평균선들의 순서로 역배열 상태가 확실시 하면 공매도 포지션을 진입하는 것을 시도합니다. 이때 포지션 진입 기준은 단기 이동평균선 아래로 주가가 계속해서 하락하는 지를 봐야 합니다.
이 매매 방법들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가장 중요한 핵심들에 대해서 말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 매매 방법은 주관적인 견해를 배제하며 최대한 확실한 구간인 에지에서만 매매를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불확실하면 매매를 안 해야 되며, 현재 상태만을 분석하면서 매매를 해야 하고 예측하면 안 됩니다.
두번째로 고지로 강사가 강조하는 것 중 하나인 비중 조절이 중요합니다.
비중 조절은 투자에 있어서 심리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소입니다. 비중을 10퍼센트 들어가는 것과 100프로 들어가는데 있어서 마음의 변화 차이는 확연하게 다릅니다.
고지로 강사는 1프로에서 10프로만 들어가는 것을 강조하며 리스크를 최소화 해야 한다 라는 것을 강조합니다.
결론
누구나 초보여도 이 방법은 적용이 가능합니다. 요약하자면 이 매매 방법은 이평이 나란히 정배열 혹은 역배열일 때 확실한 구간들에서 매수 매도를 하는 것입니다. 만약 이평이 엇갈리거나 횡보하면은 매매를 안 해야 하며 이평의 간격과 기울기들로 분석 하며 매매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