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트레이딩 꿀팁 5

차트 공부, 하락 또는 상승 다이버전스 의 의미와 사용 방법

INTRO다이버전스를 잘 사용 하고 싶은데 트레이딩을 하는데 잘 안 써지는 분들이거나 다이버전스에 대해 전혀 모르시는데 들어 오시는 분들을 위해 오늘 그 의미와 이유, 그리고 예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이버전스는 무슨 뜻일까?우선 지금 현재 트레이딩을 하시는 분들이 느끼시겠지만 가격과 거래량이 반비례하는 경우가 대다수일 것으로 보입니다. 가격은 오르는데 거래량은 낮아지거나 가격은 내리는데 거래량은 올라가는 반대 현상을 보실 것입니다. 그게 바로 다이버전스입니다. 정의하자면, 주가와 지표가 반대 현상을 보여주는 금융/트레이딩의 용어입니다. 실제로 물리학이나 수학적 용어에서도 다이버전스라는 말이 존재합니다.  다이버전스는 왜 생길까?그렇다면 다이버전스는 왜 생길까요? 왜 그렇냐면 주가의 거래량..

트레이딩 꿀팁 2025.03.22

VWAP 거래량 가중 이동평균 설정 및 매매법

이 글을 클릭 하신 이유는 아마 거래량 가중 이동평균을 알기 위해 들어오셨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오늘 이 글에서는 크게 3가지인 거래량 가중 이동평균의 의미와 거래량 가중 평균을 원하는 시점으로 설정 할 수 있는 특화된 도구인 Anchored Vwap, 그리고 이 VWAP을 가지고 매매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거래량 가중 이동평균이란? VWAP은 무엇을 의미할까? 먼저 거래량 가중 이동평균이란 위험자산의 일정 시간의 거래량을 중요시한 이동평균 가격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어려우면 사람들이 거래를 하면서 나온 이동 평균 가격이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VWAP은 tradingview에서 지표 추가로 설정 할 수 있습니다.   거래량 가중 이동평균은 2가지 도구로 분류 되는데 하나는 Anc..

트레이딩 꿀팁 2025.03.05

엘리어트 파동이론이란?

오늘은 엘리어트 파동 이론에 대한 것에 대해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엘리어트 파동 이론에서 가장 기본인 1파에서 5파에 대해 설명 드리고, ABC 파동에 대해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엘리어트 파동 이론의 기본엘리어트 파동은 파동의 반복 되는 특징을 고려하여 만든 이론입니다. 파동의 구성은 1파에서 5파 그리고 ABC 파동이 있습니다. 닐슨 엘리어트 라는 분이 만들었고, 파동 이론을 통해 예상을 할 수 있습니다.  1파에서 5파는 임펄스 파동이며 ABC 파동은 조정 파동이라고 합니다. ABC 파동은 2파와 4파에 있으며 1파에서 5파가 있으면 ABC 파동이 온다는 예상을 할 수 있습니다. ABC 파동에는 3파동이 일어나고 3파동 안에는 또 다른 작은 파동들이 있습니다. ABC 파동에는 333 파동 ..

트레이딩 꿀팁 2024.12.17

SMC 컨셉 (2)- CHOCH와 BOS 편

INTROSMC 컨셉 중 change of character와 Break of structure에 대해서 궁금 하신 것 같아서 글을 적어 봤습니다. 오늘은 이 두가지 컨셉에대한 용어 정의와 응용 방법에 대해서 적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CHOCH란?   먼저 CHOCH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HOCH란 Change of character란 의미로, 하락에서 상승 상승에서 하락 추세로 전환 될 가능성이 높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때 CHOCH는 이전 매물대 구간 혹은 조정의 끝, 상승 혹은 하락의 시작 점을 넘어서며 추세가 바뀌는 것을 의미하며, 이 파동의 특성으로 심리적 방향이 전환 된 것을 의미합니다.  CHOCH는 Wyckoff accumulation and distribution pha..

트레이딩 꿀팁 2024.11.23

SMC 컨셉(1)- 오더블록 편

INTRO SMC 컨셉에 대해서 궁금 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아 오늘 글을 적어봤습니다. 이번 편은 오더블록 편이며, 오더플로우가 무엇인지 그리고 오더플로우를 이용한 트레이딩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더 블록이란?오더블록이란 말 그대로, 오더, 주문이 체결이 생긴 구간을 의미합니다. 이때 체결된 구간이라는 것은 스마트 머니들이 체결한 구간을 뜻하죠. 보통 일반 개미 투자자들은 지지와 저항을 자주 사용하는데 오더 블록은 지지와 저항보단 좀 더 세련 된 기관 투자자들의 체결 매물대 구간들을 뜻합니다. 매물대인데 관심이 많은 구간대를 뜻하죠.  오더 블록은 수요와 공급 존이라고도 불리며, 오더 블록의 특징은 거래대금과 거래량이 많은 수요와 공급의 구간을 의미합니다.  영어로 supply an..

트레이딩 꿀팁 2024.11.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