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을 클릭 하신 이유는 아마 거래량 가중 이동평균을 알기 위해 들어오셨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오늘 이 글에서는 크게 3가지인 거래량 가중 이동평균의 의미와 거래량 가중 평균을 원하는 시점으로 설정 할 수 있는 특화된 도구인 Anchored Vwap, 그리고 이 VWAP을 가지고 매매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거래량 가중 이동평균이란? VWAP은 무엇을 의미할까?
먼저 거래량 가중 이동평균이란 위험자산의 일정 시간의 거래량을 중요시한 이동평균 가격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어려우면 사람들이 거래를 하면서 나온 이동 평균 가격이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VWAP은 tradingview에서 지표 추가로 설정 할 수 있습니다.
거래량 가중 이동평균은 2가지 도구로 분류 되는데 하나는 Anchored VWAP과 하나는 VWAP입니다. Anchored 이란 분석 할 때 투자자가 원하는 시점을 선택 할 수 있음을 뜻하며 Anchored VWAP은 일반 VWAP과 달리 지표를 추가해서 하는 것이 아니라 트레이딩뷰에서 왼쪽 바 3번째 탭에서 검색 할 수 있습니다.
Anchored VWAP과 일반 VWAP의 차이는 무엇일까?
Anchored VWAP과는 다르게 VWAP은 특정 가격의 위치를 찍을 수는 없습니다. VWAP은 매일 매주 매달 마다 계속해서 나타나지만 Anchored vwap은 투자자들이 고르는 시점에서 거래량이 가중 되어 평균화됩니다.
저 같은 경우 Anchored VWAP을 추천 드립니다. 그 이유는 과거에 생긴 모든 매물대와 VWAP라인들이 다 의미 있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다음 섹션에 Anchored VWAP을 설정 하는 방법들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Anchored VWAP, 거래량 가중 이동평균선은 어떻게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
특정 시점과 가격대에서부터 시작 할 수 있는 Anchored 거래량 가중 이동평균선을 활용하기 좋은 방법은 "거래량이 크게 나왔던 구간"을 확인 하는 것입니다.
왜 그럴까요?
거래량이 크게 나왔던 구간이라는 의미는 거래를 많이 했던 부분들이라는 의미고, 사람들이 흥미를 가진 부분을 의미하죠. 흥미가 많았던 부분들은 특성상 다시 되돌림을 주거나 가격이 다시 돌아왔을 때 매수하기 좋은 위치들이죠. 그래서 Anchored Vwap을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위 차트는 엔비디아 차트입니다. 1월 9일날 예시로 들어서 설정을 했는데요. 위와 같이 설정 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그렇습니다. 거래량입니다. 거래량을 자세히 보시면 12월~2월 사이 거래량이 많이 튀어오른 부분이 1월 9일이며 캔들이 몸통이 커졌습니다.
저때를 줌 아웃 해서 보면 위와 같이 보이는데요. 1월 9일날 Anchored VWAP을 가지고 설정을 했더니 어느정도 지지를 하고 반등을 했던 부분들이 보이실 것입니다. 저때마다 기술적 분석과 Anchored VWAP을 통해 매수를 했다면 어느정도 수익이 났었겠죠.
또 다른 예시를 들어볼까요?
다음은 넷플릭스 1시간봉 차트입니다. 넷플릭스 일봉 차트에서 거래량이 많았던 부분인 2024년 10월~11월 사이를 Anchored VWAP을 달고 2025년 1월에 Anchored VWAP을 표시해 보면 지지를 받았던 부분이나 저항을 받았던 부분들이 보이는데요 표시된 부분들을 보면서 매수를 하거나 공매도를 했으면 어느정도 수익을 낼 수 있죠.
뭔가 빈약한데?
그런데 읽어보니 뭔가 빈약하다고 생각이 드시지 않으시나요?
그렇습니다. VWAP만 가지고는 트레이딩 하기는 확률 싸움에서 질 수도 있죠. 그래서 VWAP과 다른 또 다른 기술적 분석 근거들을 찾아야 합니다. 우리는 이걸 기술적 분석에서 "공통 구간"을 찾아라 라는 말을 하죠.
예를 들어 VWAP을 표시하면서 매물대와 지지를 받았던 구간들이 겹칠 경우, 혹은 피보나치 골든 레벨에 겹치는 또 다른 근거들이 있을 경우 매매를 하기 좋은 위치인 것을 파악 할 수 있죠.
차트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위 차트는 비트코인 차트입니다. 파란색 표시된 부분은 매수 구간대의 예시이고 빨간색 표시된 부분은 겹치는 "공통구간" 매물대죠. 과거에도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의 매물대 구간 외에도 반등이 여러번 나왔습니다.
그런데 제가 아까 위에서 설명 드렸던 것처럼, "공통 구간" 추가로 확인 되는 근거들을 찾는 것이 좋다고 했었죠. 위 사진을 볼 때 어떤 근거들이 보이시나요?
그렇습니다. 바로 Anchored VWAP과 지지 매물대 그리고 스토캐스틱 지표의 매수 신호죠. 3가지 근거들로 인해 저 파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매수하기 좋은 자리였던 것이죠.
마무리
그래서 오늘 글을 요약 및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Anchored VWAP과 VWAP의 차이는 특정 시점이 있는 것이냐 아니냐의 차이다.
2. 공통 근거들을 찾고 추가로 다른 기술적 분석의 공통 구간들이 있는 지를 찾아야 한다.
'트레이딩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트 공부, 하락 또는 상승 다이버전스 의 의미와 사용 방법 (0) | 2025.03.22 |
---|---|
엘리어트 파동이론이란? (0) | 2024.12.17 |
SMC 컨셉 (2)- CHOCH와 BOS 편 (0) | 2024.11.23 |
SMC 컨셉(1)- 오더블록 편 (0) | 2024.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