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이딩 꿀팁

차트 공부, 하락 또는 상승 다이버전스 의 의미와 사용 방법

Opiniononmics Global Official 2025. 3. 22. 17:36
반응형

INTRO

다이버전스를 잘 사용 하고 싶은데 트레이딩을 하는데 잘 안 써지는 분들이거나 다이버전스에 대해 전혀 모르시는데 들어 오시는 분들을 위해 오늘 그 의미와 이유, 그리고 예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이버전스는 무슨 뜻일까?

우선 지금 현재 트레이딩을 하시는 분들이 느끼시겠지만 가격과 거래량이 반비례하는 경우가 대다수일 것으로 보입니다. 가격은 오르는데 거래량은 낮아지거나 가격은 내리는데 거래량은 올라가는 반대 현상을 보실 것입니다. 그게 바로 다이버전스입니다.

 

정의하자면, 주가와 지표가 반대 현상을 보여주는 금융/트레이딩의 용어입니다. 실제로 물리학이나 수학적 용어에서도 다이버전스라는 말이 존재합니다. 

 

다이버전스는 왜 생길까?

그렇다면 다이버전스는 왜 생길까요? 왜 그렇냐면 주가의 거래량과 힘, 즉 세기 때문입니다. 혹시 엘리어트 파동 이론에 상승 파동 조정 파동 들어보셨을까요? 그렇습니다. 임펄스 파동 ABC 파동 등등 여러 파동이 있는데 상승 한 다음 조정을 보이고 또 상승하는데는 과열과 해소, 수요와 공급의 이론 때문인데요.

 

사람들이 흥미로운 가격대가 오면 과하게 매수하고 사람들이 과열됬다고 판단하여 점차 매수를 중단하고 매도를 하면 주가가 내려갑니다. 그런데 이런 수요와 공급의 이론 때문에 반대 현상이 일어나죠. 

 

상승과 하락 다이버전스 예시

 

넷플릭스 차트를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2010년 ~2011년인 위 과거 차트를 보면 가격은 15불에서 40불까지 엄청 올라가지만, 거래량은 힘이 없고 평평한 모습들이 보입니다. 

 

이 힘 없는 거래량을 상대 강도지수와 보면 상대 강도 지수는 오히려 주가와 반대로 하락하고 있는 모습이 보이죠. 이런 현상을 하락 다이버전스라고 합니다. 

 

하락 다이버전스가 생기는 이유는 사람들의 흥미, 즉 수요가 점점 떨어지면서 주가의 매수세가 점차 떨어지고 반대로 하락 전환하기 때문입니다. 

두번째로  상승 다이버전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위 차트는 넷플릭스 차트입니다. 주가가 2014년 5월 쯤 횡보를 하는데 주가는 내려가지만 매도세가 점차 떨어집니다. 그러면서 지표의 저점은 낮아지고 주가의 저점은 평평해지는 반대 현상을 보이죠. 이런 것을 상승 다이버전스라고 합니다. 

 

 

상승 다이버전스가 생기는 이유는 주가가 하락세를 보이지만, 사람들이 주가의 위치가 매력 있기 때문에 매수세가 붙어 지표가 상승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상승 다이버전스가 생길 때 거래량 관련된 지표들은 힘 있게 상승 합니다. 

 

다이버전스 사용 방법

다이버전스를 사용 하는 방법은 "공통 구간" 및 공통 근거들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공통 구간과 근거란 2가지 이상의 기술적 분석을 찾아내 가격이 확률적으로 매수하기 좋은 구간이거나 매도하기 좋은 구간임을 찾아내는 것이죠.

 

공통 구간을 찾아내는 이유는 한 가지 근거 보단 확률이 좋기 때문이며, 주식 투자나 코인 투자는 경우의 수에 따라 가격이 움직이고 수익을 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매물대가 있는 구간대들을 좋아하고 매물대에 있을 때 하락 다이버전스가 일어나면서 지표들도 하락하는 모습들을 보이거나 반대로 더블 바텀 형식의 패턴을 만드는데 상승 다이버전스가 일어나면 매수하기 좋은 구간대들이라고 생각합니다. 

 

마무리

요약하자면 다이버전스는 주가와 지표가 반대되는 현상을 보여주는 지표로써 주로 가격이 전환함을 알려주는 신호입니다.

 

상승 다이버전스와 하락 다이버전스를 잘 활용하는 방법은 다이버전스 외에 다른 기술적 근거들을 찾아 겹치며 공통 구간대들이 만들어질 때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