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주식시장

달러 환율 전망 - 기술적 분석

Opiniononmics Global Official 2024. 12. 30. 16:35
반응형

 

달러 환율이 심상치 않습니다. 현재 기준 1470원에서 웃돌고 있는데요. 다들 달러 환율이 너무 높게 올라가고 있다 혹은 달러가 1500원 가겠다는 말들을 많이 하는데요. 오늘은 달러 환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달러 환율에 대해서 상세하게 전문가들의 의견들을 알아보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버튼을 참조하세요.

 

 

달러 환율 왜 봐야 하나?

먼저 달러 환율을 보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환율이란 한 나라의 화폐 가치를 나타내는 경제의 상태와 다른 나라와 비교 했을 때의 비율을 뜻합니다. 이때 비율은 다른 나라 대비 비교한 것이며 예를 들어 USD/KRW라고 한 다면 미국의 달러와 한국의 원화를 비교 했을 떄의 가치를 나타내죠.

 

그러면 왜 달러 환율을 보나요?

 

바로 달러 환율은 우리 경제가 돌아가는데 중요한 지불 수단의 역할을 하기 때문인데요. 우리나라는 지리학적으로 수입보단 대부분 수출에 의존하며 수익을 내는 나라인데요. 대한민국 뿐만 아니라 해외 신흥국 및 선진국들은 대부분 기축통화인 달러를 이용해서 수출을 하죠. 그런데 반대로 수입을 하는데에서는 다른 나라들로부터 무역들을 통해 물건을 구매하는데요. 

 

현재 시점에서 대한민국을 기준으로 달러가 너무 높고 원화는 물거품이 되니, 수입할 때 달러를 보다 비싸게 지불하고 물건을 수입하기 때문에 이전 1000원 했었던 시절 보다 훨씬 수입 기업 입장에서 손실이 큽니다.

 

수출 기업들에게는 이득 아닌가?

 

그러면 곰곰히 생각했을 때 이렇게 의문이 들 수 있겠는데요. 달러가 너무 비싸면 수출하는 회사들로써는 이득 아니냐?

 

어느정도는 맞는 말인데요. 하지만 달러 환율이 올라간다는 것은 원화의 가치가 싸지는 도중 무역으로 인한 물건을 수입하는데 있어 원가 가격이 올라가기 때문에 물가가 올라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내가 초콜릿을 예전에는 1달러 1000원에 수입을 했었는데 지금 1달러인 1471원에 구입을 한다면 원화의 가치가 하락하면서 나는 471원을 더 내고 수입을 하는 것이죠. 그러면 수입 원가 비싸지기 때문에 실제 가격도 비싸지는 것이고 이로 인해 cost inflation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그래서 어느정도 반도체 회사나 자동차 회사들이 달러가 비싸면 이익이라고 단순하게 생각 할 수 는 있겠지만, 환경적으로 물가가 오름세를 보이고 경제가 나빠지기 때문에 수출 회사들에게서도 악재입니다. 

 

달러 전망

마지막으로 달러 전망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사진은 트레이딩뷰에서 가져 온 달러/원 차트입니다. 보시면 상승 채널링이 만들어지고 있고 현재 상승 채널의 중간 라인인 1500원대 부근까지 왔습니다. 2008년 그리고 1997년 1600원대 이상을 돌파했었던 적이 두 번 있었는데 저 외환위기 시절과 2008년의 금융 시장의 붕괴 시절 때를 제외한 현재 시점은 정치적인 불확실성인 탄핵의 사유로 원화의 가치는 폭락하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앞으로 원화의 가치 전망은 탄핵 시기가 얼마나 확실시하게 끝나느냐에 따라 앞으로 대한민국의 경제의 행보가 결정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현재 기술적 분석으로 보면 위와 같이 큰 박스 안에서의 횡보형 파동이 일어나고 있고 지금은 공통으로 겹치는 저항 위치에서 불확실하기 때문에 상승 추세는 쉽게 꺽이며 1300원 밑으로는 단기간 안에 가기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1500원대 위로 올라간다면 최소 1800원대에서 1820원대인 1:1 비율의 위치까지 열려 있다고 전망 할 수 있겠습니다. 

 

마무리

 

요약하자면, 우리나라는 현재 위기 국면에 들어서 있는 상태입니다. 대한민국 정치적인 행세가 불확실하게 경제를 망가트리고 양극화 시켜 버린 가치관으로 인해 우리나라 환율은 1500원대를 뚫을 가망이 높은 위치까지 왔습니다. 환율이 어찌보면 수출 기업이라 경제에 단순히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겠지만, 수입 기업들에게는 그렇지 않습니다. 하루 빨리 대한민국의 경제 상태가 원래대로 더 나은 안전한 모습으로 되찾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